퓨어PURE

PR(Public Relations) 뜻, PR이란? 본문

마케팅 & PR

PR(Public Relations) 뜻, PR이란?

millnssjsj 2020. 4. 1. 20:11

안녕하세요 여러분, 벌써 4월이 됐네요.

오늘은 P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마케팅! 하면 떼 놓을 수 없는 대목! PR이 마케팅인가? 마케팅이 PR인가? 하는 의문이 생길 겁니다.

 

PR, Public Relations = 공중관계

홍보 주체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기업이나 브랜드의 이미지 제고, 제품 홍보 등을 목적으로 전개하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입니다. 보통 직무로 보자면, PR팀은 기업의 보도자료를 배포하거나 브랜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활동을 하죠. 이 활동에는 홍보와 광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R학을 배우다 보면 항상 보이는 용어들이 있는데요.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조직과 공중

조직: 기업, 중앙정부, 자치단체, 산하기관

공중: 여러 대중이 모여 활동하는 집단, 사회를 뜻함. 시민단체, 여론층, 지역사회 등

 

 

2. SMCR(E)

PR 커뮤니케이션의 최초 과정은 SMCR입니다.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할 때 발생하는 것들이지요.

S: source, sender

M: message

C: channel

R: receiver

sender가 자신의 message를 channel(채널 -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로 ex. 말, 몸짓, 문자, 전화 등)을 통해 receiver에게 전달합니다.

(E)를 괄호로 묶어놓은 이유는, effect 이기 때문인데요. 이 SMCR의 과정을 거치고 나면 이 활동, 메세지에 대한 효과가 나기 시작합니다.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포함되는 것이기보단 결과? 반응?이라고 생각하여 이 SMCR모델을 SMCR, SMCRE 따로 구분하는 학자들이 있습니다.

 

번외로, 이 과정에는 F(feedback)과 N(noise)가 포함됩니다.

Feedback = 송,수신자가 서로에게 반응하는 것(여론의 의견, 시청자의 의견)

Noise = 메세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방해되는 요소들(송수신자의 대화 도 중 지나가는 자동차 소음, 송수신자의 다른 이념과 편견으로 닫힌 소통의 문)

 

 

3. PR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효과적인 소통, 송수신자가 서로의 의견을 전달하고 사회적 동질감을 유발할 수 있는 활동

PR 커뮤니케이션: 기업이나 주체자가 세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하는 모든 활동 (SMCR)

 

 

4. PR의 기본 원칙

-사회성, 공공성, 윤리성, 쌍방향성, 신회성, 진정성

 

 

5. SWOT 분석

이 분석 모델은 PR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널리 쓰이기도 합니다.

S: strength

W: weakness

O: opportunity

T: threat

기업이 놓여있는 환경을 고려하여 자신들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경쟁사) 요인을 분석하여 PR활동을 전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 PR의 기본 상식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PR활동에 대한 예시를 알아보며 자세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할게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