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하트크러쉬
- 땡큐파머
- pr활동
- 피자헛우주선
- 글로우틴트
- PR마케팅
- 기업PR의중요성
- 하트크러쉬글로우틴트에어
- 칼레이도스코프일루젼
- 홀리카홀리카세일
- 기업PR의역영
- 홀리카홀리카아이섀도우
- 칼레이도스코프
- 유젠로즈
- 코코쉬닉티아라
- 커뮤니케이션의과정
- 커뮤니케이션과정
- 홀리카홀리카
- PR
- 피스매칭4구팔레트
- 피자헛홍보
- 윌콕스
- 립스틱
- pr예시
- 언론홍보대행사
- PR뜻
- 인플루언서
- 마케팅
- 홀리카홀리카발색
- 홍보
- Today
- Total
퓨어PURE
기업 PR의 중요성 - 윌콕스의 기업 PR영역 10계 본문
안녕하세요 여러분, 퓨어입니다!
오늘은 기업 PR이 왜 필요한지,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업의 이미지는 소비자의 인식과 기업의 이미지를 연결 짓는 것에 있어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를 위해 많은 기업들은 단기적이고 중장기적인 기업 PR을 전개하고 있지요. 전 글에서 소개해드린 피자헛에 사례만 보아도, 기업이 PR활동을 통해서 소비자들에게 얼마큼 영향을 주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기업 PR이란?
'기업'과 'PR'의 두 개념이 합쳐진 복합적인 개념입니다. 기업이란 '이익 추구에 궁극적 목적을 두며 고객의 욕구와 선호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비즈니스 활동을 조직화하고 지휘하는 주체들'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PR은 '사적 및 공적인 조직체와 이 조직체가 관계하거나 그럴 수 있는 사람들의 동조와 이해를 유지하는 지속적이고 계획적인 성격의 경영 기능'이라고 이해할 수 있겠죠.
따라서 기업 + PR = 기업 PR은 더 나은 경영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경영, 즉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계획적인 커뮤니케이션 경영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업 PR의 영역
기업 PR에 대해 연구한 한 학자인 윌콕스는 기업 PR의 영역을 10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1) 평판 관리(reputatuon)
기업은 브랜드의 목표나 정책을 분명히 설명하고 회사에 문제가 될만한 사안들은 사전에 예측, 대응한다. 또한 환경 보호, 공익 실현과 같은 사회적 책임의 실현 등을 잘 알려 대외적인 평판과 회사 이미지를 개선하려 노력한다.
2) 마케팅 커뮤니케이션(marketing communication)
PR 부서는 마케팅 부서와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전문지나 일반 언론 매테에 기업에 대한 호의적이고 긍정적인 기사가 많이 실리도록 한다.
3) 정보제공(information service)
기업은 회사의 다양한 활동과 제품에 대한 소개를 보도자료로 만들어 언론에 배포하여 공중들에게 알리고, 필요에 따라서 기자 회견과 회사 담당자와의 인터뷰 등을 추진해야 한다.
4) 금융계 관계 관리(financial relations)
기업의 실적을 적시에 성실하고 정확히 제공함으로써 금융계가 해당 기업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하여 지원할 수 있도록 상호 호혜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한다. 이러한 활동은 기업활동은 공정하고 투명하게 하며 건전한 기업활동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킨다.
5) 투자자 관계 관리(investor relation)
기업은 주주와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기업 경영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거나 기업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잠재 주주들에게 분기별 실적 보고서나 연례 보고서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회사에 대한 호감을 갖도록 유도한다.
6) 종업원 관계 관리(employee relations)
경영층과 종업원의 소통, 의사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고 종업원의 의견이 상부 경영층에 여과 없이 전달되도록 소통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PR 팀원들은 이 관계 관리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인사 부서와 함께 해야 하며 주요 수단으로 사보, 사내방송, 사내 게시판을 활용하며 종업원과 경영층의 대화창구 등을 따로 마련하기도 한다.
7) 특별 행사 관리(special events management)
외부의 자선활동이나 문화 행사에 대해 기업이 후원을 하면서 특별 행사 관리가 실행된다. 특별 행사를 후원하는 경우 행사의 기획단계부터 결과까지 모두 지켜보며 이 과정이 기업 이미지에 호의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8) 지역 사회관계 관리(community relations)
기업은 지역 사회의 발전을 위해 각종 지역 사회단체, 기관들을 지원해야 한다. 종업원들로 하여금 자원봉사를 하게 뜸하고 때로는 음악회 같은 문화행사를 후원하기도 하고 회사 직원들을 지역사회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투입시켜 협조하기도 한다.
9) 주요 쟁점관리(issues management)
쟁점관리란 회사의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이슈(쟁점)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대한 활동을 말하는데, 주로 PR 전문가들에 의해 다루어진다.
10) 공공문제 및 정부 관계 관리(public affairs/ government relations)
중앙 정부나 지방의 각종 법안과 입안 결정 과정을 중시하며, 필요한 경우 합법적인 로비활동을 하거나 담당 공무원 또는 해당 부서원들과의 잦은 소통으로 기업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법안을 유도하는 커뮤니케이션을 말한다.
'마케팅 & P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SMCR - 마케팅과 PR의 기초 (0) | 2020.04.24 |
---|---|
PR활동 성공사례, 피자 최초 우주배달 '피자헛' (0) | 2020.04.06 |
PR(Public Relations) 뜻, PR이란? (0) | 2020.04.01 |
바이럴 마케팅이란 - 효과와 장단점 (0) | 2020.03.26 |
디지털 마케팅의 종류(2): SEO, 키워드 광고 외 (0) | 2020.03.24 |